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252
253
254
255
256
257
258
259
260
261
262
263
264
265
266
267
268
269
270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
280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
289
290
291
292
293
294
295
296
297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
309
310
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
319
320
321
322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0
331
332
333
334
335
336
337
338
339
340
341
342
343
344
345
346
347
348
349
350
351
352
353
354
355
356
357
358
359
360
361
362
363
364
365
366
367
368
369
370
371
372
373
374
375
376
377
378
379
380
381
382
383
384
385
386
387
388
389
390
391
392
393
394
395
396
397
398
399
400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410
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
420
421
422
423
424
425
426
427
428
429
430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441
442
443
444
445
446
447
448
449
450
451
452
453
|
# Sunjae Park <darehanl@gmail.com>, 2006.
# Changwoo Ryu <cwryu@debian.org>, 2008.
#
msgid ""
msgstr ""
"Project-Id-Version: xserver-xorg\n"
"Report-Msgid-Bugs-To: xorg@packages.debian.org\n"
"POT-Creation-Date: 2009-06-02 20:32+0200\n"
"PO-Revision-Date: 2008-07-20 12:34+0900\n"
"Last-Translator: Changwoo Ryu <cwryu@debian.org>\n"
"Language-Team: Korean <debian-l10n-korean@lists.debian.org>\n"
"MIME-Version: 1.0\n"
"Content-Type: text/plain; charset=UTF-8\n"
"Content-Transfer-Encoding: 8bit\n"
"Plural-Forms: nplurals=1; plural=0;\n"
#. Type: select
#. Choices
#: ../x11-common.templates:2001
msgid "Root Only"
msgstr "루트 사용자만"
#. Type: select
#. Choices
#: ../x11-common.templates:2001
msgid "Console Users Only"
msgstr "콘솔 사용자만"
#. Type: select
#. Choices
#: ../x11-common.templates:2001
msgid "Anybody"
msgstr "아무나"
#. Type: select
#. Description
#: ../x11-common.templates:2002
msgid "Users allowed to start the X server:"
msgstr "X 서버를 띄울 권한이 있는 사용자:"
#. Type: select
#. Description
#: ../x11-common.templates:2002
msgid ""
"Because the X server runs with superuser privileges, it may be unwise to "
"permit any user to start it, for security reasons. On the other hand, it is "
"even more unwise to run general-purpose X client programs as root, which is "
"what may happen if only root is permitted to start the X server. A good "
"compromise is to permit the X server to be started only by users logged in "
"to one of the virtual consoles."
msgstr ""
"X 서버는 수퍼유저 권한을 가진 채로 실행되기 때문에 보안상 아무 사용자나 X 서"
"버를 실행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안 좋을 수 있습니다. 반면, 루트 사용자만 X "
"서버를 실행시킬 수 있을 경우 일반적인 X 클라이언트 프로그램도 루트 사용자로 "
"실행되기 때문에 더 안 좋을 수 있습니다. 버추얼 콘솔로 로그인된 사용자만 X 서"
"버를 실행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적당할 수 있습니다."
#~ msgid "Nice value for the X server:"
#~ msgstr "X 서버의 nice값:"
#~ msgid ""
#~ "When using operating system kernels with a particular scheduling "
#~ "strategy, it has been widely noted that the X server's performance "
#~ "improves when it is run at a higher process priority than the default; a "
#~ "process's priority is known as its \"nice\" value. These values range "
#~ "from -20 (extremely high priority, or \"not nice\" to other processes) to "
#~ "19 (extremely low priority). The default nice value for ordinary "
#~ "processes is 0, and this is also the recommend value for the X server."
#~ msgstr ""
#~ "특정 스케쥴링 방식을 사용하는 커널의 경우 X 서버의 프로세스 우선 순위를 기"
#~ "본 우선 순위보다 높게 잡을 경우 일반적으로 X 서버의 성능이 좋아진다고 알려"
#~ "져 있습니다. 프로세스의 우선 순위는 \"nice\"값이라고 합니다. nice 값은 -20"
#~ "(굉장히 높은 우선 순위로, 다른 프로세스에게 \"nice\"하지 않음)에서 19(굉장"
#~ "히 낮은 우선 순위)까지 있습니다. 일반적인 프로세스의 기본 nice값은 0이며, "
#~ "X 서버도 이 값을 사용하기를 권장합니다."
#~ msgid ""
#~ "Values outside the range of -10 to 0 are not recommended; too negative, "
#~ "and the X server will interfere with important system tasks. Too "
#~ "positive, and the X server will be sluggish and unresponsive."
#~ msgstr ""
#~ "-10에서 0 사이의 값 이외에는 사용하지 말 것을 권장합니다. 너무 낮은 값을 "
#~ "사용할 경우 X 서버가 중요한 시스템 작업과 간섭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너무 "
#~ "높은 값을 사용할 경우 X 서버의 반응이 너무 느릴 수 있습니다."
#~ msgid "Incorrect nice value"
#~ msgstr "nice 값이 잘못됨:"
#~ msgid "Please enter an integer between -20 and 19."
#~ msgstr "-20에서 19 사이에 있는 정수를 입력해주십시오."
#~ msgid "Major possible upgrade issues"
#~ msgstr "업그레이드 중 발생할 수 있는 심각한 문제점"
#~ msgid ""
#~ "Some users have reported that upon upgrade to the current package set, "
#~ "their xserver package was no longer installed. Because there is no easy "
#~ "way around this problem, you should be sure to check that the xserver-"
#~ "xorg package is installed after upgrade. If it is not installed and you "
#~ "require it, it is recommended that you install the xorg package to make "
#~ "sure you have a fully functional X setup."
#~ msgstr ""
#~ "현재 패키지 세트로 업그레이드를 하자 xserver 패키지가 더 이상 설치되지 않"
#~ "게 된 사용자 보고가 일부 있었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
#~ "에 업그레이드 후 xserver-xorg 패키지가 설치되어있는지 확인해주십시오. 필요"
#~ "한데도 설치되어있지 않을 경우, X 설정이 온전히 동작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
#~ "xorg 패키지를 설치할 것을 권장합니다."
#~ msgid "Cannot remove /usr/X11R6/bin directory"
#~ msgstr "/usr/X11R6/bin 디렉토리를 지울 수 없습니다."
#~ msgid ""
#~ "This upgrade requires that the /usr/X11R6/bin directory be removed and "
#~ "replaced with a symlink. An attempt was made to do so, but it failed, "
#~ "most likely because the directory is not yet empty. You must move the "
#~ "files that are currently in the directory out of the way so that the "
#~ "installation can complete. If you like, you may move them back after the "
#~ "symlink is in place."
#~ msgstr ""
#~ "이 업그레이드를 하기 위해서는 /usr/X11R6/bin 디렉토리를 지우고 symlink로 "
#~ "대체해야 합니다. 대체하려고 했으나 실패했으며, 디렉토리가 아직 비어있지 않"
#~ "아서 실패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을 다른 곳으로 옮"
#~ "겨야 설치가 끝날 수 있습니다. 원하신다면 symlink로 대체한 후 그 파일을 다"
#~ "시 원위치로 옮기실 수 있습니다."
#~ msgid ""
#~ "This package installation will now fail and exit so that you can do this. "
#~ "Please re-run your upgrade procedure after you have cleaned out the "
#~ "directory."
#~ msgstr ""
#~ "이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패키지 설치는 이제 실패로 끝냅니다. 디렉토리를 모"
#~ "두 정리한 후에 업그레이드 작업을 다시 실행하십시오."
#~ msgid "Video card's bus identifier:"
#~ msgstr "비디오카드의 버스 ID:"
#~ msgid ""
#~ "Users of PowerPC machines, and users of any computer with multiple video "
#~ "devices, should specify the BusID of the video card in an accepted bus-"
#~ "specific format."
#~ msgstr ""
#~ "PowerPC 사용자 및 비디오 장치를 여러 개 사용하는 사용자는 버스별로 사용하"
#~ "는 정식 형식에 맞춰서 비디오카드의 버스 ID를 지정해야 합니다."
#~ msgid "Examples:"
#~ msgstr "예:"
#~ msgid ""
#~ "For users of multi-head setups, this option will configure only one of "
#~ "the heads. Further configuration will have to be done manually in the X "
#~ "server configuration file, /etc/X11/xorg.conf."
#~ msgstr ""
#~ "멀티헤드 구성을 사용할 경우 이 옵션은 장치 하나만에 영향을 줍니다. 다른 장"
#~ "치의 설정은 X 서버의 설정 파일 /etc/X11/xorg.conf을 직접 변경하셔야 합니"
#~ "다."
#~ msgid ""
#~ "You may wish to use the \"lspci\" command to determine the bus location "
#~ "of your PCI, AGP, or PCI-Express video card."
#~ msgstr ""
#~ "PCI나 AGP, PCI-Express 비디오카드의 버스 위치를 알아내기 위해서는 \"lspci"
#~ "\" 명령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msgid ""
#~ "When possible, this question has been pre-answered for you and you should "
#~ "accept the default unless you know it doesn't work."
#~ msgstr ""
#~ "가능하면 이 질문의 대답을 자동으로 채워놓습니다. 이 값이 잘못되었다는 확신"
#~ "이 들기 전에는 기본값을 그대로 사용하십시오."
#~ msgid "Incorrect format for the bus identifier"
#~ msgstr "버스 ID의 형식이 잘못되었습니다"
#~ msgid "Use kernel framebuffer device interface?"
#~ msgstr "커널의 프레임버퍼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시겠습니까?"
#~ msgid ""
#~ "Rather than communicating directly with the video hardware, the X server "
#~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some operations, such as video mode "
#~ "switching, via the kernel's framebuffer driver."
#~ msgstr ""
#~ "X 서버는 비디오카드와 직접 통신하지 않고 커널의 프레임버퍼를 통해 비디오 "
#~ "모드 변경 등의 일부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 msgid ""
#~ "In theory, either approach should work, but in practice, sometimes one "
#~ "does and the other does not. Enabling this option is the safe bet, but "
#~ "feel free to turn it off if it appears to cause problems."
#~ msgstr ""
#~ "이론상 둘 다 동작해야 하지만, 실제로는 한 쪽은 동작하고 한쪽은 동작하지 않"
#~ "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이 옵션을 활성화하는 것이 안전하지만, 문제가 발생한"
#~ "다면 이 옵션을 끄셔도 됩니다."
#~ msgid "XKB rule set to use:"
#~ msgstr "사용할 XKB 규칙 모음:"
#~ msgid ""
#~ "For the X server to handle the keyboard correctly, an XKB rule set must "
#~ "be chosen."
#~ msgstr ""
#~ "X 서버에서 키보드를 제대로 다루기 위해서는 XKB 규칙 모음을 지정하셔야 합니"
#~ "다."
#~ msgid "Users of most keyboards should enter \"xorg\"."
#~ msgstr "대부분의 키보드는 \"xorg\"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 msgid ""
#~ "Experienced users can use any defined XKB rule set. If the xkb-data "
#~ "package has been unpacked, see the /usr/share/X11/xkb/rules directory for "
#~ "available rule sets."
#~ msgstr ""
#~ "고급 사용자는 정의된 XKB 규칙 모음을 아무거나 사용하셔도 됩니다. xkb-data "
#~ "패키지를 풀었을 경우, /usr/share/X11/xkb/rules 디렉토리에 사용할 수 있는 "
#~ "규칙 셋을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 msgid "When in doubt, this value should be set to \"xorg\"."
#~ msgstr "잘 모르겠으면 \"xorg\"라는 값을 사용하십시오."
#~ msgid "Keyboard model:"
#~ msgstr "키보드 모델:"
#~ msgid ""
#~ "For the X server to handle the keyboard correctly, a keyboard model must "
#~ "be entered. Available models depend on which XKB rule set is in use."
#~ msgstr ""
#~ "X 서버가 키보드를 제대로 다루기 위해서는 키보드 모델을 입력하셔야 합니다. "
#~ "사용할 수 있는 모델은 선택하신 XKB 규칙 모음에 따라 달라집니다."
#~ msgid ""
#~ " With the \"xorg\" rule set:\n"
#~ " - pc101: traditional IBM PC/AT style keyboard with 101 keys, common in\n"
#~ " the United States. Has no \"logo\" or \"menu\" keys;\n"
#~ " - pc104: similar to pc101 model, with additional keys, usually engraved\n"
#~ " with a \"logo\" symbol and a \"menu\" symbol;\n"
#~ " - pc102: similar to pc101 and often found in Europe. Includes a \"< >\" "
#~ "key;\n"
#~ " - pc105: similar to pc104 and often found in Europe. Includes a \"< >\" "
#~ "key;\n"
#~ " - macintosh: Macintosh keyboards using the new input layer with Linux\n"
#~ " keycodes;\n"
#~ " - macintosh_old: Macintosh keyboards not using the new input layer;\n"
#~ " - type4: Sun Type4 keyboards;\n"
#~ " - type5: Sun Type5 keyboards."
#~ msgstr ""
#~ "\"xorg\" 규칙 모음을 사용할 경우:\n"
#~ " - pc101: 키가 101개인 전통적인 IBM PC/AT 형식 키보드로, 미국에서 \n"
#~ " 널리 사용됩니다. \"로고\"가 있는 키나 \"메뉴\"키가 없습니다.\n"
#~ " - pc104: pc101 모델과 비슷하지만 \"로고\" 심볼이나 \"메뉴\" 심볼이 \n"
#~ " 새겨진 키가 몇 개 더 있습니다.\n"
#~ " - pc102: pc101과 비슷하며 유럽에서 많이 사용합니다. \"< >\" 키가 있습니"
#~ "다.\n"
#~ " - pc105: pc104과 비슷하며 유럽에서 많이 사용합니다. \"< >\" 키가 있습니"
#~ "다.\n"
#~ " - macintosh: 새로운 입력 레이어를 사용하는 매킨토시 키보드로, 리눅스 "
#~ "키 \n"
#~ " 코드를 사용합니다.\n"
#~ " - macintosh_old: 새 입력 레이어를 사용하지 않는 매킨토시 키보드.\n"
#~ " - type4: Sun Type4 키보드.\n"
#~ " - type5: Sun Type5 키보드."
#~ msgid ""
#~ "Laptop keyboards often do not have as many keys as standalone models; "
#~ "laptop users should select the keyboard model most closely approximated "
#~ "by the above."
#~ msgstr ""
#~ "노트북용 키보드는 일반 키보드에 비해 키가 적은 경우가 많으므로, 노트북 사"
#~ "용자는 위 중에서 가장 근접한 모델을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 msgid ""
#~ "Experienced users can use any model defined by the selected XKB rule "
#~ "set. If the xkb-data package has been unpacked, see the /usr/share/X11/"
#~ "xkb/rules directory for available rule sets."
#~ msgstr ""
#~ "고급 사용자는 선택한 XKB 규칙 모음에 맞는 키보드 모델을 아무거나 선택하실 "
#~ "수 있습니다. xkb-data 패키지를 풀었을 경우, /usr/share/X11/xkb/rules 디렉"
#~ "토리에 사용할 수 있는 규칙 셋을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 msgid ""
#~ "Users of U.S. English keyboards should generally enter \"pc104\". Users "
#~ "of most other keyboards should generally enter \"pc105\"."
#~ msgstr ""
#~ "미국식 키보드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대부분 \"pc104\"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다"
#~ "른 키보드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대부분 \"pc105\"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 msgid "Keyboard layout:"
#~ msgstr "키보드 구성:"
#~ msgid ""
#~ "For the X server to handle the keyboard correctly, a keyboard layout must "
#~ "be entered. Available layouts depend on which XKB rule set and keyboard "
#~ "model were previously selected."
#~ msgstr ""
#~ "X 서버가 키보드를 제대로 다루기 위해서는 키보드 구성을 입력하셔야 합니다. "
#~ "사용할 수 있는 구성은 선택하신 XKB 규칙 모음과 키보드 모델에 따라 달라집니"
#~ "다."
#~ msgid ""
#~ "Experienced users can use any layout supported by the selected XKB rule "
#~ "set. If the xkb-data package has been unpacked, see the /usr/share/X11/"
#~ "xkb/rules directory for available rule sets."
#~ msgstr ""
#~ "고급 사용자는 선택한 XKB 규칙 모음에 맞는 키보드 구성을 아무거나 선택하실 "
#~ "수 있습니다. xkb-data 패키지를 풀었을 경우, /usr/share/X11/xkb/rules 디렉"
#~ "토리에 사용할 수 있는 규칙 셋은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 msgid ""
#~ "Users of U.S. English keyboards should enter \"us\". Users of keyboards "
#~ "localized for other countries should generally enter their ISO 3166 "
#~ "country code. E.g., France uses \"fr\", and Germany uses \"de\"."
#~ msgstr ""
#~ "미국식 키보드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대부분 \"us\"을 입력하시면 됩니다. 자국"
#~ "에 맞는 키보드가 있는 경우에는 대부분 ISO 3166 국가 코드를 입력하시면 됩니"
#~ "다. 예를 들어 프랑스는 \"fr\", 독일은 \"de\"를 사용합니다."
#~ msgid "Keyboard variant:"
#~ msgstr "키보드 변종:"
#~ msgid ""
#~ "For the X server to handle the keyboard as desired, a keyboard variant "
#~ "may be entered. Available variants depend on which XKB rule set, model, "
#~ "and layout were previously selected."
#~ msgstr ""
#~ "X 서버가 키보드를 제대로 다루기 위해서는 키보드 변종을 입력해야할 필요가 "
#~ "있기도 합니다. 사용할 수 있는 변종은 선택하신 XKB 규칙 모음과 모델, 구성"
#~ "에 따라 달라집니다."
#~ msgid ""
#~ "Many keyboard layouts support an option to treat \"dead\" keys such as "
#~ "non-spacing accent marks and diaereses as normal spacing keys, and if "
#~ "this is the preferred behavior, enter \"nodeadkeys\"."
#~ msgstr ""
#~ "띄움 없는 액센트마크나 분음기호 등의 데드키를 일반적인 띄움키로 다루도록하"
#~ "는 옵션을 지원하는 키보드 구성이 있으며, 이를 사용하고자 한다면 \"deadkeys"
#~ "\"를 입력하십시오."
#~ msgid ""
#~ "Experienced users can use any variant supported by the selected XKB "
#~ "layout. If the xkb-data package has been unpacked, see the /usr/share/"
#~ "X11/xkb/symbols directory for the file corresponding to your selected "
#~ "layout for available variants."
#~ msgstr ""
#~ "고급 사용자는 정의된 XKB 구성 변종을 아무거나 사용하셔도 됩니다. xkb-data "
#~ "패키지를 풀었을 경우, /usr/share/X11/xkb/symbols 디렉토리에 사용할 수 있"
#~ "는 구성의 변종에 해당하는 파일을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 msgid ""
#~ "Users of U.S. English keyboards should generally leave this entry blank."
#~ msgstr ""
#~ "미국식 키보드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대부분 이 항목을 비워두시면 됩니다."
#~ msgid "Keyboard options:"
#~ msgstr "키보드 옵션:"
#~ msgid ""
#~ "For the X server to handle the keyboard as desired, keyboard options may "
#~ "be entered. Available options depend on which XKB rule set was "
#~ "previously selected. Not all options will work with every keyboard model "
#~ "and layout."
#~ msgstr ""
#~ "X 서버가 키보드를 제대로 다루기 위해서 키보드 옵션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
#~ "사용할 수 있는 옵션은 선택하신 XKB 규칙 셋에 따라 달라집니다. 키보드 모델"
#~ "과 구성에 따라 사용할 수 없는 옵션도 있습니다."
#~ msgid ""
#~ "For example, if you wish the Caps Lock key to behave as an additional "
#~ "Control key, you may enter \"ctrl:nocaps\"; if you would like to switch "
#~ "the Caps Lock and left Control keys, you may enter \"ctrl:swapcaps\"."
#~ msgstr ""
#~ "예를 들어 Caps Lock 키를 또 하나의 Ctrl 키로 사용하려면 \"ctrl:nocaps\"를 "
#~ "입력하시면 됩니다. Caps Lock 키와 왼쪽 Ctrl 키를 바꾸려면 \"ctrl:swapcaps"
#~ "\"를 입력하십시오."
#~ msgid ""
#~ "As another example, some people prefer having the Meta keys available on "
#~ "their keyboard's Alt keys (this is the default), while other people "
#~ "prefer having the Meta keys on the Windows or \"logo\" keys instead. If "
#~ "you prefer to use your Windows or logo keys as Meta keys, you may enter "
#~ "\"altwin:meta_win\"."
#~ msgstr ""
#~ "또 다른 예로 키보드의 Alt 키를 메타키로 사용하고자 하는 사람도 있고 (이것"
#~ "이 기본 설정입니다), 윈도우키, 또는 로고키를 메타키로 사용하고자 하는 사람"
#~ "도 있습니다. 윈도우키, 또는 로고키를 메타키로 사용하고자 한다면 \"altwin:"
#~ "meta_win\"을 입력하십시오."
#~ msgid ""
#~ "You can combine options by separating them with a comma, for instance "
#~ "\"ctrl:nocaps,altwin:meta_win\"."
#~ msgstr ""
#~ "\"ctrl:nocaps,altwin:meta_win\"처럼 쉼표를 이용해서 옵션을 합칠 수 있습니"
#~ "다."
#~ msgid ""
#~ "Experienced users can use any options compatible with the selected XKB "
#~ "model, layout and variant."
#~ msgstr ""
#~ "고급 사용자는 선택하신 XKB 모델, 구성과 변종에 맞는 옵션을 아무거나 선택하"
#~ "실 수 있습니다."
#~ msgid "When in doubt, this value should be left blank."
#~ msgstr "잘 모르겠으면 이 항목을 비워두십시오."
#~ msgid "Empty value"
#~ msgstr "빈 값"
#~ msgid "A null entry is not permitted for this value."
#~ msgstr "이 값은 비어둘 수가 없습니다."
#~ msgid "Invalid double-quote characters"
#~ msgstr "큰 따옴표는 사용할 수 없음"
#~ msgid "Double-quote (\") characters are not permitted in the entry value."
#~ msgstr "이 항목의 값에는 큰 따옴표 (\") 글자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 msgid "Numerical value needed"
#~ msgstr "숫자가 필요함"
#~ msgid "Characters other than digits are not allowed in the entry."
#~ msgstr "이 항목에는 숫자 이외의 다른 값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 msgid "Autodetect keyboard layout?"
#~ msgstr "키보드 구성을 자동으로 감지하시겠습니까?"
#~ msgid ""
#~ "The default keyboard layout selection for the Xorg server will be based "
#~ "on a combination of the language and the keyboard layout selected in the "
#~ "installer."
#~ msgstr ""
#~ "Xorg 서버의 기본 키보드 구성은 설치프로그램에서 선택하신 언어와 키보드 구"
#~ "성에 따라 달라집니다."
#~ msgid ""
#~ "Choose this option if you want the keyboard layout to be redetected. Do "
#~ "not choose it if you want to keep your current layout."
#~ msgstr ""
#~ "키보드 구성을 다시 검색하려면 이 옵션을 선택하여 주십시오. 현재 구성을 그"
#~ "대로 유지하려면 선택하지 마십시오."
#~ msgid "X server driver:"
#~ msgstr "X 서버 드라이버:"
#~ msgid ""
#~ "For the X Window System graphical user interface to operate correctly, it "
#~ "is necessary to select a video card driver for the X server."
#~ msgstr ""
#~ "X 윈도우 시스템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대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X 서"
#~ "버를 위한 비디오카드 드라이버를 선택할 필요가 있습니다."
#~ msgid ""
#~ "Drivers are typically named for the video card or chipset manufacturer, "
#~ "or for a specific model or family of chipsets."
#~ msgstr ""
#~ "드라이버는 비디오카드나 칩셋 제조사나, 특정 모델, 칩셋군 등에서 이름을 주"
#~ "로 따옵니다."
|